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며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사표를 던졌다. 진보 진영의 첫 대선 출마 선언으로, 다른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도 속속 출마를 공식화할 전망이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민주당 당사에서 회견을 열고 “내란종식, 국민통합, 정권교체의 첫발을 내딛는다. 이제 우리는 제7공화국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6공화국 대통령 8명 중에 4명이 구속되거나 파면되었다. 모두가 보수정당 대통령이었다”며 “두 번 연속 대통령 탄핵을 초래한 국민의힘은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의 정치행보는 나를 죽이고 당을 살리는 길이었다. 민주당이 더 다양한 정당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어대명’이라 일컬었던 당 대표 선거에도 도전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며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드리겠다.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제가 큰 문제. 당장 미국이 우리에게 던진 25% 관세부과가 발등의 불"이라며 “김두관 정부는 국가경제의 수도권, 대기업 중심의 성장을 분권성장으로 전환하여 전국이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했다.
또 “폭망한 외교, 시급히 경제외교 복원해야 한다. ‘날리면’으로 시작한 윤석열 정권의 외교는 폭망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북방외교는 무너졌고 남북관계도 단절되었다”고 했다.
이어 “남북관계의 복원은 우리의 지정학적 숙명이다.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과의 관계를 조절해야 한다”며 “하루빨리 한반도 평화교섭의 주도권을 되찾는데 김두관 정부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신성장동력, 과학기술 투자에 국운을 걸겠다”며 “자원없는 대한민국이 인적자원을 활용해 미래 기술을 만들어 내지 않고는 국민이 먹고 살 방법은 없다. 전국에 서울대 10개를 만드는 교육 혁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연방제 수준의 자치분권을 이루겠다. 과감하게 중앙정부의 사무를 이전하고 특단의 재정구조 개선에 나서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연방제 수준으로 지방분권 국가로 행정체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김 전 의원은 “완전개방 오픈프라이머리로 압승해야 한다.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동의한 모든 세력이 함께하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서는 “어대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며 “중도 확장성이 부족하면 윤석열 같은 후보에게도 패배하는 결과가 또 나올 수 있다”고 직격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