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13일(현지 시간)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 부품 등은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별도의 품목관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달 11일 이들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한 지 이틀 만에 나온 발언이어서 첨단 산업의 관세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미 ABC 방송에 출연해 “이달 11일 (스마트폰과 반도체 부품 등) 다양한 전자 기기를 면제하기로 한 결정은 일시적인 유예 조치일 뿐이며, 이르면 1~2개월 안에 부과될 반도체 품목관세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품목관세는)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 형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에는 곧 발표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적용돼 관세가 매겨질 것이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러트닉 장관은 이어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11일 미국의 통관·관세 등 무역정책 집행 기관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컴퓨터 및 데이터 처리 장비 △컴퓨터 부품(GPU 등) △반도체 제조 장비 △스마트폰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 등 총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제외 목록에 올렸다. 공개된 면제 품목은 반도체·서버 장비 등 AI 인프라 부품이 핵심이며, 완제품 중에서는 스마트폰이 적시됐다. 이에 중국에서 아이폰의 80∼90%가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애플은 145%의 관세 폭탄을 피하고, 반도체 제조 장비도 관세를 피하면서 삼성전자와 TSMC·인텔 등의 미국 공장 건설에도 당분간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러트닉 장관의 발언으로 첨단 산업이 관세 타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전용기에서 반도체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14일에 답을 주겠다”며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