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직물공장서 재계 2위까지 오른 SK, 에너지·통신·반도체 이을 미래 먹거리는 [biz-플러스]

■재계 2위 SK, 8일 창립 72주년

전후 폐허서 창업 일군 최종건

'품질 제일주의'로 홍콩에 첫 수출

韓, 직물 수출국 반열로 끌어올려

최종현, 중화학·ICT 뼈대 세워

유공 품고 필름 등 중화학 주춧돌

세계 최초로 CDMA 상용화 견인

글로벌 기업 도약 이끈 최태원

AI 종합솔루션 기업 청사진 제시

하이닉스·텔레콤 등 역량 총동원





SK(034730)그룹이 8일 창립 72주년을 맞는다. 직물 회사에서 시작한 SK는 에너지·정보통신기술(ICT)·바이오·반도체 사업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며 재계 서열 2위까지 올랐다. 현재 최태원 회장의 지휘 아래 인공지능(AI) 기업으로 변신 중이다. SK가 4차 혁신 창업을 통해 성장해온 역사를 넘어 새로운 ‘퀀텀 점프(대도약)’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섬유에서 에너지·화학, 정보통신으로


SK는 6·25전쟁이 끝난 1953년 최종건 창업회장이 공장을 불하 받아 선경직물(현 SK네트웍스)을 창업하면서 역사가 시작됐다. 최 창업회장은 '품질 제일주의'를 앞세워 1955년 '닭표 안감'과 '봉황새 이불감'을 출시했고 1962년 홍콩에 닭표 인조견 10만 마(당시 약 1만 3000달러)를 수출, 한국을 '직물 수출국' 반열에 올려놓았다. 1960~1970년대 섬유가 우리나라 최대 수출품으로 떠오른 가운데 선경직물은 아세테이트 공장과 폴리에스터 공장을 잇달아 건설하며 주요 수출 역군으로 자리했다.

1969년 선경직물 폴리에스터원사 수원공장 찾는 최종건 창업회장. 이하 사진제공=SK


SK는 1980년 대한석유공사(현 SK이노베이션(096770))를 인수하며 두 번째 창업을 이뤘다. 최 창업회장의 뒤를 이은 친동생 최종현 선대회장은 정유와 석유화학 제품과 필름, 섬유 등을 일괄 생산하며 중화학 산업의 주춧돌을 놓았다. 1984년 예멘의 마리브 광구에서 유전개발에도 처음 성공하며 대한민국이 ‘무자원 산유국’ 신화를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

1991년 유공 울산 신규공장 방문한 최종현 선대회장.


최 선대회장은 이어 그룹의 신성장 동력으로 정보통신 산업을 낙점했다. 최 선대회장은 유공 인수 후 임직원과의 대화에서 "조만간 무선 정보통신이 주도하는 시대가 올 테니 여러분도 거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SK는 1992년 제2이동통신 민간 사업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노태우 당시 대통령이 사돈 관계인 SK에 특혜를 제공했다는 비판이 일었고, 최 선대회장은 "특혜시비를 받아가며 사업을 할 수 없다"며 사업권을 반납했다. SK는 1994년 김영삼 정부 들어서야 제1이동통신 사업자였던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017670))을 인수하며 정보통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었다. 이후 1996년 세계 최초로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디지털 이동전화를 상용화해 국내 최대 통신 업체를 키워냈다.

1996년 세계 최초로 CDMA 상용화한 SK텔레콤이 기념식을 연 모습.


반도체 기업으로 글로벌 도약


2011년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000660)) 인수는 선경직물, 유공, 한국이동통신에 이은 SK의 네 번째 혁신 창업의 역사다. 국내 대기업 집단의 성격이 강했던 SK는 이때부터 글로벌 기업으로 올라선다. 최 회장은 채권단 관리를 받던 하이닉스반도체에 과감하게 3조4267억 원을 투자해 인수한 뒤 1년 만에 분기 흑자전환을 이뤘다. 2017년엔 낸드 전문기업인 키옥시아(옛 도시바 메모리)에 4조 원 규모 지분투자를 단행하고, 2020년 인텔 낸드사업부를 11조 원에 인수하면서 SK를 메모리 반도체 분야 선두기업으로 성장시켰다.



2012년 3월 SK하이닉스 출범 기념식.


특히 AI시대 핵심 반도체로 불리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성공은 '뚝심 투자'가 빛을 발한 성과로 꼽힌다. 2012년 메모리 업황 부진으로 대부분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를 줄일 때도 SK는 매년 조 단위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입했고, M14와 M16을 비롯한 신규 메모리반도체 공장도 적극 건설했다. 2013년 그렇게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것이 HBM이다. '잘하는 것에 집중하자'는 신조로 메모리반도체 경쟁력을 높였고 생성형 AI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나면서 이른바 '대박'이 났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등 고객사는 물론 시스템반도체 제조 강자 TSMC 등과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며 AI 반도체 생태계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그룹 편입 직전이던 2011년보다 매출과 시가총액(지난해 말 기준)는 각각 6배 10배 이상 증가했다.

SK하이닉스가 3월 17~21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엔비디아가 주최하는 글로벌 인공지능(AI) 컨퍼런스인 'GTC 2025'에 참가해 공개한 HBM 모형.


AI 데이터센터, 5차 혁신창업의 주춧돌


SK는 이제 5차 혁신창업을 준비 중이다. 재료는 AI다. 최태원 회장은 SK가 보유한 산업군을 활용할 수 있는 미래 사업으로 AI 데이터센터를 지목했다.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해놓는 수준에서 나아가 GPU 등으로 구성된 서버를 다량 구축해 AI 머신러닝,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24시간 쉼없이 운영돼야 하기 때문에 안정적 전력 공급과 운영 노하우가 필수다.

1월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 참석한 최태원 SK 회장이 SK 전시 부스 내 마련된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 건축(SK에코플랜트)와 서버 구축에 필요한 반도체 공급(SK하이닉스), 전력 공급(SK이노베이션), 통신망 구축(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서버 운영(SK C&C) 등 역량을 총망라해 AI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TSMC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AI 데이터센터 관련 협력 방안도 논의 중이다. 최 회장은 지난해 11월 ‘SK AI 서밋’에서 “SK의 AI 데이터센터 등 여러 설루션이 (파트너사들의) 코스트(비용)를 얼마나 절약해 줄 수 있는지는 저희(SK)가 증명해낼 필요가 있다”며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는 "SK가 그럴(증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저희와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다른 곳과 했을 것”이라고 했다.

SK는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에서도 슈나이더일렉트릭, 기가컴퓨팅 등 국내외 기업들과 AI 데이터센터의 MEP(기계·전력·수배전), 액체냉각 분야에서 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SK는 GPU 6만장이 투입되는 100메가와트(MW)급 하이퍼스케일로 서버 10만 대를 동시에 가동할 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SK 관계자는 "추후 그 규모를 1기가와트(GW)로도 확대해 AI 분야의 아시아 허브로 거듭나려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